전체보기 219

코로나 시기에 휴학 해야 하는 이유 & 하면 안되는 이유

요즘 코로나 때문에 힘들어 하는 사람들 많죠? 특히 대학생들, 대학원생들, 자영업자들... ㅠㅠ 이렇게 1년 이상 지속되는 바이러스는 태어나서 처음 경험해봅니다. (하... 썅... 코로나 언제 끝남?? ㅠㅠ) 그래서 코로나 때문에 휴학하겠다는 학생들이 적지 않게 보이더군요. 그런데 이것이 정말 옳은 선택인지 의문입니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코로나 때문에 휴학하는 것을 찬성편과 반대편 입장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선 저는 여러 가지 의견을 언급해서 여러분들이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 거지, '휴학하지 말아야 한다!' 라고 한 가지로 주장하는 것이 아니니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선택은 여러분들이 하시면 되고 여러분들이 어떠한 선택을 해도 저는 붙잡지 않습니다...

강의/(기타) 2021.06.09

맥 일본어 입력 방법

이번 시간에는 맥OS에서 일본어 키보드를 추가하고 입력하는 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좌측 상단의 애플 아이콘을 클릭하고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키보드'를 클릭합니다. '입력 소스' 메뉴에서 '+' 버튼을 클릭합니다. 하단 검색창에 '일본어' 라고 입력하고 상단에서 '일본어'를 클릭하면 아래과 같이 나오는데 어떤 방식으로 할지는 여러분의 선택입니다. 저는 영어 발음대로 일본어를 구사하는 것에 익숙하므로 '일본어 - Romaji'를 클릭하겠습니다. 일본어 - 가나: 키보드 내에 히라가나가 적혀있고, 이걸 이용해서 구사하는 방식 일본어 - Romaji: 키보드 내에 영어 알파벳이 적혀있고, 영어 발음대로 입력해서 구사하는 방식 그러면 초록색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일본어 키보드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

강의/(기타) 2021.06.09

디지털 변조의 종류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변조의 종류를 살펴보고 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 보충 설명을 추가하는 중입니다. 제대로 정리해서 집어넣겠습니다. 먼저 하나의 사진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ASK (Amplitude Shift Keying) - '진폭'을 디지털 신호 값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1일 때만 파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 FSK (Frequency Shift Keying) -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 값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0일 때 파형이 뒤집혀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3) PSK (Phase Shift Keying) - '위상'을 디지털 신호 값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

아날로그 펄스 변조의 종류

이번 시간에는 아날로그 펄스 변조의 종류를 살펴보고 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먼저 하나의 사진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 펄스의 '진폭'을 신호의 표본 값에 비례하게 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커질수록 높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 용도: PCM의 중간단계로 쓰입니다. (2) PWM (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의 '폭'을 신호의 표본 값에 비례하게 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커질수록 가로 길이가 커져서 넓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 용도: 스위칭 회로로 모터를 제어할 때 쓰입니다. - PAM에 비해 잡음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장점) - 펄스의 상승 부분과 ..

닌텐도 e숍 체크카드 결제 방법

이번 시간에는 닌텐도 e숍에서 체크카드로 게임을 구입해서 다운받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닌텐도 전용 선불 카드를 구입해서 포인트 충전하는 방식도 있지만 불필요한 잔액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렇게 잔액이 있으면 해외 e숍으로 전환이 안되므로 닌텐도사에 전화해서 포인트 전부 없애달라고 요청해야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국내 e숍만 고집하신다면 상관없습니다 ㅋ) 따라서 저도 선불 포인트보다 체크카드를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ㅎㅎ 우선 개요부터 말씀드리면 다운로드는 PC or 모바일 어디에서 해도 상관없지만 구매는 PC에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 게임 구매하기 (PC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다운로드 상품 구매'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파랑색과 같이 카트에 게임이 추가됩니다. 카트 아이..

이공계 가면 안되는 사람들 유형

이번 시간에는 자연대, 공대, 의대 등 이과 진학(대학교)을 권장하는 않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따라서 다음 중 한 가지라도 만족 못한다면 진지하게, 냉정하게 고민한 후에 결정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전공 살려서 취업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꽤 봤으니까요 ㅋㅋㅋ ** 아래의 내용은 "학점 관리를 한다는 전제" 에서 작성되었으므로 학점 관리를 할 생각이 없으시다면 이 글을 읽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필자는 실제 이과생(컴퓨터공학과) 이지만 일부 주관적 견해가 들어있습니다. (1) 산수, 논리, 수학을 싫어한다 이과에서 기본 중의 기본이 바로 산수와 논리 입니다. 특히 전화기(전자과, 화공과, 기계과)는 수학이 안 쓰일 수가 없죠. (2) 앉아서 공부하는 것을 싫어한다 이과..

강의/(기타) 2021.05.29

예비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프로그램들

이번 시간에는 예비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프로그램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프로그래밍 도구(이클립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XCode 등)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제외하였습니다. ** 저는 아직 현업 개발자가 아니고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멘토한테 물어본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따라서 약간의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일부 주관적 견해가 들어있습니다. (1) Git & GitHub - 본인이 한 프로젝트 등 소스 코드를 업로드해서 정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 개발자한테는 프로그래밍 도구 다음으로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예비 개발자들은 포트폴리오를 써야 하므로 지금까지 했던 프로젝트들을 정리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2) AWS (Amazon Web Ser..

IT강의/(Others) 2021.05.28

라인 코딩의 종류와 특징

이번 시간에는 라인 코딩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라인 코딩(선로 부호화, Line Coding)은 디지털 부호를 전송하기 위해 선로 특성에 맞는 전기적인 펄스열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되고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1) NRZ (Non Return to Zero) - 대역폭을 가장 적게 요구합니다. - 수신측에서 신호를 구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를 'DC Draft 문제' 라고 합니다. - 수신 신호만으로는 동기화가 어렵습니다. - 종류: Unipolar NRZ, Polar NRZ (2) RZ (Return to Zero) - 동기화 Bit를 포함하므로 동기화가 가능합니다. - NRZ에 비해 대역폭을 많이 요구합니다. - 수신측에서 신호를 구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

데이터의 가공 및 처리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의 가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데이터의 가공 과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Data): 단순한 데이터 또는 그 데이터들을 모아 둔 형태 정보(Information): 자료를 특정한 목적을 위해 가공한 형태 ex1) - 자료: 내일 강수확률: 99% - 정보: 내일은 비가 올 확률이 99%이므로 꼭 우산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ex2) - 자료: 철수의 병원 방문 날짜: 1/1, 1/3, 1/5, ... , 1/31, ... - 정보: 철수는 항상 홀수 날에 병원을 방문합니다. 데이터마이닝 (Data Mining) - 데이터(자료)들의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 수많은 자료를 가공해서 정보를 얻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종류

이번 시간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기획, 개발, 테스트, 출시 등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절차를 뜻합니다. 이러한 개발 프로세스에는 여러 가지의 방식이 있는데요. 그 방식들을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주먹구구식 모형 (Build-Fix Model) - 공식적인 가이드라인, 프로세스 없이 개발부터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 요구 분석 명세서나 설계 단계 없이 간단한 기능만을 정리하여 개발합니다. - 일단 코드를 작성하여 제품을 만들어본 후에 요구 분석, 설계, 유지보수에 대해 생각합니다. - 정해진 개발 순서나 각 단계별로 문서화된 산출물이 없어 관리 및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프로젝트 전체 범위를 알 수 없을 뿐더러 좋은 아키텍처를 만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