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의/데이터베이스 12

SQL - SELECT문

지난 시간에 데이터베이스 실기에서 정말 기초가 되는 관계 대수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SQL 쿼리문을 살펴볼 것이고, 그 중에서도 SELECT문의 문법을 살펴볼 것입니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1) 데이터 정의 언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 내에 테이블을 생성(CREATE), 변경(ALTER), 삭제(DROP) 하거나 권한의 부여(GRANT)나 박탈(REVOKE), 주석(COMMENT), 자료의 버림(TRUNCATE) 등을 수행하는 명령문이 있습니다. 2) 데이터 조작 언어..

관계 대수

이번 시간에는 SQL 쿼리문을 작성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내용 중 하나인 '관계 대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관계 대수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연산자를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① 합집합 (∪) ② 교집합 (∩) ③ 차집합 (-) ④ 카티션 곱 (×) ⑤ 셀렉션 (σ) ⑥ 프로젝션 (π) ⑦ 조인 (⋈) ⑧ 자연 조인 (*) ⑨ 세미 조인 (⟕, ⟖, ⟗) ⑩ 디비전 (÷) 1. 합집합 (∪) - 중고등학교 수학 개념 '합집합'을 떠올리셔도 무방합니다. (교집합, 차집합도 포함) - 테이블의 차수(Attribute의 수)가 서로 같아야 되고 도메인이 같아야 됩니다. (교집합, 차집합도 포함) - 2개의 테이블에 있는 튜플(데이터 행)을 서로 결합한 다음 중복을 없애는 연산자입..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