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아날로그 펄스 변조의 종류를 살펴보고 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먼저 하나의 사진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 펄스의 '진폭'을 신호의 표본 값에 비례하게 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커질수록 높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 용도: PCM의 중간단계로 쓰입니다.
(2) PWM (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의 '폭'을 신호의 표본 값에 비례하게 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커질수록 가로 길이가 커져서 넓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 용도: 스위칭 회로로 모터를 제어할 때 쓰입니다.
- PAM에 비해 잡음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장점)
- 펄스의 상승 부분과 하강 부분을 모두 검출해야 합니다. (단점)
- 보호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야 합니다.
(3)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 펄스의 '위치'를 신호의 표본 값에 비례하게 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 위의 그림에서도 신호 값이 커질수록 위치가 앞쪽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 용도: 실제 통신에서 쓰입니다.
- PAM에 비해 잡음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 펄스의 위치가 변하다보니 변조된 신호만으로는 주기를 알 수 없으므로 표본화(Sampling) 시간을 찾기 위해 클럭 타이밍을 재구성해야 합니다.
<출처>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이론 강의자료: 7장. 펄스 변조와 펄스부호 변조 (아날로그 펄스 변조)
728x90
반응형
LIST
'IT강의 > 통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변조의 종류 (2) | 2021.06.08 |
---|---|
라인 코딩의 종류와 특징 (3) | 2021.05.25 |
각 변조의 종류 및 특징 (0) | 2021.05.24 |
진폭 변조의 종류 및 특징 (0) | 2021.05.18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