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의 97

보안의 3대 요소: CIA

보안은 위험, 손실 및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보안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의 도난이나 손상, 컴퓨터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중단 또는 오용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을 뜻하지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이러한 보안의 3대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안의 핵심적인 특징 이라고 하는데요. 줄여서 'CIA' 라고 부릅니다. 이 내용은 정보처리기사 실기, 전산직 공무원 시험에서도 출제된 적이 있으므로 준비하시는 분들은 알아두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트랜잭션은 아래와 같이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기밀성 (Confidentiality) - 인가받지 않은 대상에게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아무나 내용을 볼 수 없다고 이..

디자인 패턴의 종류

이번 시간에는 디자인 패턴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을 뜻합니다. 편의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의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내용 중 하나인데 그 이유는 게임으로 비유하기 정말 좋기 때문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개념만이 아니라 클래스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단 지금은 종류만 살펴보고 자세한 내용은 게시글 하나하나씩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아직 모든 게시글이 다 업로드되지 않았기 때문에 간단한 설명 밖에 없습니다. 게시글이 업로드 될 때마다 링크를 올려서 점차 수정해 나가겠습니다. (1) 스트래티지 패턴- 객체의 동작들을 캡슐화한 다음 어떤 동작을 사..

추천 알고리즘의 종류

추천이란 어떤 조건에 적합한 대상을 책임지고 소개하는 것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상대방이 좋아할만한 것을 소개해주는 것을 뜻하지요. 그렇다면 추천 시스템은 이러한 시스템을 뜻하고 추천 알고리즘은 이렇게 하기 위한 방법, 절차,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게시글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게시글에서는 협업 필터링 방식만 설명을 드렸는데요. 사실 이 외에도 다양한 추천 방식이 있습니다. 1. 협업 필터링 (CF, Collaborative Filtering) - 소비자랑 평가 패턴이 비슷한 사람들을 한 집단으로 보고 그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취향을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 본인하고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서 추천해주는거라고 이해..

부울 대수

이번 게시글에서는 부울 대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울 대수(Boolean Algebra)는 어떤 명제의 참과 거짓을 이진수 1과 0에 대응시켜서 명제와 명제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디지털 논리회로를 수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러한 수식을 풀어나가는 것이 바로 부울 대수의 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산직 공무원 시험에서는 반드시 출제되니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부울대수의 기본 연산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피연산자: X, Y 등 대문자 기호를 사용 (2) 연산자 AND: 두 값이 모두 1일 때 1이 됩니다. ( X·Y or XY ) OR: 둘 중 하나만 1이어도 1이 됩니다. ( X+Y ) NOT: 0이면 1이 되고 1이면 0이 됩니..

디지털 논리 게이트

이번 게시글에서는 디지털 논리 게이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논리 게이트는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할 때 매우 기초가 되는 부분이니 이 분야로 나아가고자 하는 분들은 정확히 알고있어야 합니다. (1) AND 게이트 - 두 값이 모두 1일 때 1이 됩니다. - C언어의 '&&', Python의 'and' 연산자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2) OR 게이트 - 두 값 중 하나만 1이어도 1이 됩니다. - C언어의 '||', Python의 'or' 연산자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3) NOT 게이트 - 값을 반대로 바꿉니다. 0이면 1이 되고 1이면 0이 됩니다. - C언어의 '!(...)', Python의 'not(...)' 연산자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4) NAND 게이트 - 두 값이 모두 1일 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위의 사진은 디지털 통신을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디지털 통신은 디지털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이므로 아날로그 신호를 여기에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이번 게시글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것입니다. 위의 사진에서 빨강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겠다는 뜻입니다. 이 과정에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이렇게 3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1. 표본화(Sampling) - 아날로그 신호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표본을 취하는 과정입니다. - 일정 간격으로 점을 찍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양자화(Quantization) - 표본화된 각 점을 진폭에 따라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표현할 것인지 정하는 과정..

2018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문제풀이 및 해설 - 5. SQL 쿼리문

※ 문제의 내용은 제 기억에 의해 복구된 것이므로 기존 시험문제랑 완전히 똑같지는 않습니다. 그냥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내용에서 빈칸 (1) ~ (5) 을 채우시오. DCL은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회복, 병행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DCL은 일반 사용자보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1) 은 데이터베이스 조작 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트랜잭션의 모든 변경 내용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DCL 명령어입니다. (2) 은 데이터베이스 조작 작업이 비정상정으로 종료되었을 때 변경된 모든 내용을 취소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이것은 오류 동작 이후에도 깨끗한 사본으로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결성을 위하여 중요합니..

2018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문제풀이 및 해설 - 4. 데이터베이스 이론

※ 문제의 내용은 제 기억에 의해 복구된 것이므로 기존 시험문제랑 완전히 똑같지는 않습니다. 그냥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내용에서 빈칸 (1) ~ (8) 을 채우시오. 관계 대수는 컴퓨터 과학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모델에서 집합론과 1차 논리에 기반하여 관계로 표현된 데이터를 취급하는 대수적인 연산 체계를 말합니다. 관계 대수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산자들이 사용됩니다. 1. 합집합 - 2개의 테이블에 있는 튜플(데이터 행)을 서로 결합하는 연산자입니다. - 기호: (1) 2. 교집합 - 2개의 테이블을 비교했을 때 서로 같은 튜플만 남겨 놓는 연산자입니다. - 기호: (2) 3. 차집합 - 왼쪽 테이블 내의 튜플들을 기준으로 오른쪽 테이블 내에 있는 튜플들을 제거하는 연산자입니다. -..

2018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문제풀이 및 해설 - 3. Java

※ 문제의 내용은 제 기억에 의해 복구된 것이므로 기존 시험문제랑 완전히 똑같지는 않습니다. 그냥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프로그램에서 빈 칸 (1)과 (2)를 채우시오. 난이도: ★☆☆☆☆ 위 프로그램의 출력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시다시피 2차원 배열 내의 값을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결과 값이 3행 5열 이므로 배열 생성 시 공간 할당도 이에 맞게 해주어야 합니다. 더 적게 할당하면 배열 크기 초과 오류(ArrayIndexOutOfRange Exception)가 발생하고 더 많이 할당하면 오류는 발생하지 않지만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므로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3 (2) 5

2018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문제풀이 및 해설 - 2. C언어

※ 문제의 내용은 제 기억에 의해 복구된 것이므로 기존 시험문제랑 완전히 똑같지는 않습니다. 그냥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출력 결과를 보고 프로그램 내에 빈 칸 (1)을 채우시오. 난이도: ★★☆☆☆ 이 프로그램은 1부터 5까지의 약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약수의 특징을 떠올렸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약수는 해당 숫자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4의 약수는 1, 2, 4 가 있지요? 4를 이 숫자들로 나누면 나머지는 모두 0이 나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므로 정답은 i%j == 0 입니다. 다음은 배열 내의 숫자 중 홀수의 갯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빈 칸 (1)을 채우시오. 난이도: ★☆☆☆☆ 짝수와 홀수의 특징을 떠올..

728x90
반응형
LIST